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400

ActiveX와 Html5 # ActiveX (& BHO)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기반 ActiveX는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컴포넌트에 특화 . 기술적으로 볼 때 ActiveX 컨트롤= COM 객체 서명을 참조하여 누가 작성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음 Windows XP SP2부터 사용자 동의를 얻어야 설치 가능 BHO(Browser Helper Objects)도 COM 기반 . IE에서는 Adobe Flash와 Oracle Java VM은 BHO로 동작함 브라우저와 동일한 권한으로 실행 관리자는 사실상 무제한적 시스템 액세스 가능 Windows Vista부터 사용자 권한제어가 대폭 강화됨 . 기존의 수많은 ActiveX가 새로운 환경에서 동작하지 않음 # HTML5 웹브라우저에 동영상, mp3 플레이어, 이미지 출력, 문서 .. 2015. 3. 25.
[펌] ssh restart CentOS / RHEL / Fedora / Redhat Linux Restart SSH # /etc/init.d/sshd restart OR # service sshd restart Debian / Ubuntu Linux Restart SSH # /etc/init.d/ssh restart OR # service ssh restart FreeBSD Restart SSH # /etc/rc.d/sshd restart UNIX Restart SSH # kill -HUP `cat /var/run/sshd.pid` 출처 : http://www.cyberciti.biz/faq/howto-restart-ssh/ 2015. 3. 23.
crontab crontab 이란? 서버 스스로 정해둔 명령을 일정 기간마다 실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사용형식 crontab [ -u 사용자 id] 파일 crontab [-u 사용자 id] { -l | -r | -e} # crontab -l : 예약된 작업리스트 # crontab -e : 예약된 작업 수정 # crontab -r : 예약된 작업 삭제 cron 실행 확인 # ps -ef | grep crond cron 시작 # /etc/init.d/cron start{restart | stop} 일반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 사용하도록 설정 허가 /etc/cron.allow 여기에 ID 등록 일반사용자의 crontab 명령어사용을 제한 /etc/cron.deny 에 ID를 등록 등록 내용 설정 "분,시,일,월,요.. 2015. 3. 21.
E2E 암호화 E2E 암호화는 인터넷뱅킹 사용자가 거래를 하기 위해 키보드 입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전 구간에서 공인인증서 사용에 이용되는 PKI(공개키기반구조) 환경을 유지한 상태에서 키보드 보안 솔루션과 연계해 금융정보를 암호화해 보호한다. 메모리 변조를 막기 위한 대안으로 금감원은 기존의 키보드 보안은 E2E의 비밀번호 값만을 적용하던 것을 계좌번호, 보안카드번호 등 모든 중요한 금융거래 정보까지 보안을 확장할 것을 요구했다. 이 기술은 현재 일회용비밀번호(OTP)생성기로 만드는 일회용비밀번호 입력 정보 유출까지도 막을 수 있는 대안으로 지목되고 있다. 참고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34691 Application Level의 E2E 데이터 전송 기술.. 2015. 3. 20.
메모리DB 서버의 임시 저장장치인 메모리 속에 DB를 구현하여 컴퓨터를 부팅하면 DB가 메모리에 올라와 빠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메모리DB이다. 통신·금융권 중심 급확산 현재 메모리DB는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금융권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돼 CDMA 기지국 가입자 정보의 실시간 조회, 무선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실시간 서비스, 사이버 트레이딩, 사이버 뱅킹, 실시간 원투원 마케팅 등 각종 인터넷 서비스, 공장 자동화에서 실시간 데이터 수집·제어 등의 업무에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오라클 등 기존 DB에 덧붙여 액세스 빈도가 많은 데이터의 처리를 전담하는 캐싱DB로 사용할 수 있어 쓰임새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통신과 SK텔레콤, LG텔레콤, 한국통신프리텔 등 주요 통신서비.. 2015.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