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빚진 자처럼, 한결같이1593 [CKA] Node Selector, Node Affinity 특정 노드에 특정 Pod를 배치하고 싶을 때 사용 노드에 Lable을 설정해야함 # 노드에 label설정 kubectl label nodes = # Affinity Node를 기준으로 하는 Node affinity Pod가 배포된 위치(node) 를 기준으로 하는 Pod affinity 2022. 3. 9.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쿼리로 프로그래밍 하는 방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Object 필드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다룬다.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에서 쓰이는 객체라는 개념을 구현한 클래스와 RDB(Relational DataBase)에서 쓰이는 데이터인 테이블 자동으로 매핑(연결)하는 것을 의미 ORM을 이용하면 따로 SQL문을 짤 필요없이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장점 : 개발자가 객체 모델만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한다. 단점 :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커질 수록 난이도도 올라가고 부족한 설계로 잘못 구현되었을 경우 속도 저하 및 일관성을 무너뜨리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출처: https://geonlee.tis.. 2022. 3. 8. [협업툴] 게더타운 메타버스 기반의 화상 회의 플랫폼 25명 이내에서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시간 제한은 없다. 2022. 3. 8. [CKA] Taints(스케줄링에 참여안함) and Tolerations(스케줄링 시킴) Node는 하나 이상의 Taint를 가질 수 있고 Pod는 하나 이상의 Toleration을 가질 수 있다. # Taint Pod가 배포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책 기본적으로 master node, daemonset은 taint되어 있다. 에러가 발생된 Pod는 자동으로 NoExecute Taints가 설정되어 스케줄링에서 제외된다. # taint 확인방법 kubectl taint nodws node-name key=value:taint-effect # node1에 있는 taints 검색 kubectl describe node node01 | grep -i taints # taint의 key, value, effect 설정 kubectl taint nodes node2 spray=test:NoSchedule 2022. 3. 8. [CKA] Labels and Selectors # 여러 조건의 리소스를 검색할 때, 공백없이 selector의 파라미터로 값을 입력 kubectl get all --selector bu=test,tier=frontend,env=dev # Node에 라벨설정 kubectl label node node1 color=red 2022. 3. 8. 이전 1 ··· 211 212 213 214 215 216 217 ··· 3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