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IT Tech/Cloud Native65

[CKA] Volumes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를 관리하기 위해 Volume을 정의한다. 보통 Pod의 일부로써 라이프사이클을 함께 한다. # Volume이 필요한 이유 1. pod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2. 컨테이너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3. 노드(호스트)의 정보를 공유해야하는 경우 4. API Call을 하기 위해서 # 지원되는 Volume - emptyDir : 빈 디렉토리 생성, pod가 node에 할당될 때 생성되고 pod가 삭제될 때 같이 삭제되는 임시 볼륨 kind: Pod metadata: name: test-pd spec: containers: - image: k8s.gcr.io/test-webserver name: test-container volumeMounts: - mou.. 2022. 3. 12.
[CKA] Ingress Resource HTTP나 HTTPS를 통해 클러스터의 리소스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API 외부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하는 관문 역할 Ingress 미사용 시 NodePort 나 ExternalIP 등을 사용해야 한다. # Ingress 구성요소 - YAML파일에서 Ingress로 정의하는 Ingress 리소스, 즉 웹서버 - Ingress 규칙을 정의하는 Ingress Controller # YAML파일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name: minimal-ingress annotations: nginx.ingress.kubernetes.io/rewrite-target: / spec: ingressClassName: ng.. 2022. 3. 12.
[CKA] Service Discovery 1. 환경변수를 통해 찾기 - kubectl exec env - 단점 : 나중에 생성된 Pod는 환경변수 적용이 안된다. 2. DNS를 통해 찾기 - service_name.namespace.svc.cluster.local - 내부 DNS 서비스에서 DNS 항목을 가져옴 2022. 3. 12.
[CKA] 요약 https://github.com/amazingandyyy/cka/blob/master/README.md GitHub - amazingandyyy/cka: CKA https://www.cncf.io/certification/cka/ CKA https://www.cncf.io/certification/cka/. Contribute to amazingandyyy/ck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022. 3. 10.
[CKA] Static Pod # Static Pod 경로 - kubelet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하는 pod - 아래 경로에 파일을 배치해 놓으면 실행됨 /etc/kubernetes/manifest/ # Static Pod 생성사례 kubectl run --restart=Never --image=busybox static-busybox --dry-run=client -o yaml --command -- sleep 1000 > /etc/kubernetes/manifests/static-busybox.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labels: run: static-busybox name: static-busybox spec: containers: - c.. 2022.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