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루틴 기록하기/클라우드 네이티브

[CKA] Static Pod

by ->^_^<- 2022. 3. 10.
반응형

# Static Pod 경로

- kubelet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하는 pod

- 아래 경로에 파일을 배치해 놓으면 실행됨

   /etc/kubernetes/manifest/

 

# Static Pod 생성사례

kubectl run --restart=Never --image=busybox static-busybox --dry-run=client -o yaml --command -- sleep 1000 > /etc/kubernetes/manifests/static-busybox.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labels:
    run: static-busybox
  name: static-busybox
spec:
  containers:
  - command:
    - sleep
    - "1000"
    image: busybox
    name: static-busybox
    resources: {}
  dnsPolicy: ClusterFirst
  restartPolicy: Never
status: {}

 

# 스태틱 파드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드를 감시한다. (만약 실패할 경우 다시 구동한다.)

https://kubernetes.io/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static-pod/

 

스태틱(static) 파드 생성하기

스태틱 파드 는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

kubernetes.io

 

# Daemonsets

클러스터 각 노드에 포드를 하나씩 생성하는 오브젝트로 대표적인 데몬셋으로 kube-proxy가 있다.

 

출처 :&amp;nbsp;https://images.app.goo.gl/NqAm5aEXEcdxsr8k8

 

# Static pod 확인방법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o wide

 

# Static pod 생성명령

kubectl run --restart=Never --image=busybox static-busybox --dry-run=client -o yaml --command -- sleep 1000 > /etc/kubernetes/manifests/static-busybox.yaml

 

# static pod의 config 파일 경로 찾기

ps -ef | grep /usr/bin/kubelet

아래 정보를 확인하여 staticpod의 Path 확인

--config=/var/lib/kubelet/config.yaml

grep -i staticpod /var/lib/kubelet/config.yaml

 

# 파일 삭제 명령어

rm -rf <파일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