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빚진 자처럼, 한결같이1575 [펌][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직접 debugger 붙이기 manifest.xml 에서 debuggable 설정 adb forward tcp:8000 jdwp:171 ->pid 171 process 관련 debug정보를 tcp port 8000으로 포워딩 출처 : http://ecogeo.tistory.com/265 프로세스에 디버거 붙이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어쨋든 디버거 붙이는 과정은 가급적 스크립트로 만들어두고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타겟(에뮬레이터)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시작 am(Activity Manager)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타겟에서 지정된 액티비티를 디버그 모드로 시작하는 명령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am start -D -n /. 자동으로 해당 액티비티 프로세스의 디버깅 포트가 8700 포트로 포워딩되며 만약 8700 포트로 .. 2016. 4. 9. Droidbox 툴사용 /etc/apt/apt.conf 생성 후 프록시 설정 동적분석을 도와줌 네트워크 연결 행위 분석에 사용 2016. 4. 9. eclipse의 DDMS로 앱 메모리 영역 분석 DDMS에서 해당 앱의 heap 메모리 덤프 일반 덤프 파일은 안드로이드 sdk-tool에 있는 Hprof-conv.exe 툴 사용 분석 시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MAT(메모리분석 도구)를 이용하거나 Bintext, Strings를 통해 스트링만 추출해서 보는 것도 무방 2016. 4. 9. service call 목록 검색 #! service 목록 검색 단말에서 service list 명령으로 검색 #! jd-gui 에서 해당 함수 검색 시 키워드 *transact*로 검색 #! jd-gui에서 소스코드로 저장하기를 하여 notepad++의 폴더검색 기능으로 transact 검색 2016. 4. 8. adb backup #! adb backup -apk -f 패키지명 루팅과 상관없이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app의 정보를 백업받을 수 있다. 개발자 옵션에서 백업 패스워드 설정 후 cmd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단말에서 백업허용 팝업이 뜨고 확인을 누르면 cmd에서 패스워드 입력창이 나타나고 백업이 시작됨. jar 파일형태로 백업파일이 생성됨 2016. 4. 8. 이전 1 ··· 276 277 278 279 280 281 282 ··· 315 다음 반응형